흰개미는 빛을 싫어하는 습성과 서식에 습기가 필요해 평상시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는 드무나 3~6월 짝짓기를 위한 군비(결혼비행)시 육안으로 관찰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평상시에는 몸통이 흰색을 띄나, 결혼비행 시에는 몸통색깔이 검게 변하게 됩니다. 흰개미는 목재의 셀룰로오스를 영양공급으로 활용하기에 목조를 갉아 먹어
목조건축물에 피해를 유발합니다. 목조건축물에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건축물에서도 흰개미 피해 사례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콘크리트 구조물 목조 부분 및 스티로폼 등에서도 서식이 가능 합니다.) 흰개미의 종류 중 국내 서식종은 일본흰개미 등이 있으며 특히 피해 입기 쉬운 목재는 소나무입니다.
◆ 흰개미 특성
▶ 주요 서식 환경
흰개미는 주로 토양속에서 군체로 무리지어 서식하거나, 목재 안쪽에서 여러 마리가 발견되는 특성이 있음
▶ 선호장소와 기피장소
습하고 그늘진 곳을 선호하며, 햇빛이 비추거나 건조한 곳을 기피함
(주방, 욕실, 다용도실 등에서 발견됨)
▶ 출몰 하는 시기
매년 3월에서 6월 사이에 약 5~7mm 크기의 날개달린 검정색 형태로 출몰
(날파리 등으로 오인하기 쉬움)
▶ 피해 야기 범위
목조건축물 및 각종 목자재
(옥내: 서까래, 문지방, 창틀, 가구 등
옥외: 벽 기둥 하단, 처마, 울타리 등)
◆ 흰개미 발견법
▶ 생활 속 흰개미 발견법 1
[개미길(Mud Tube) 유무 확인]
건물 바닥이나 그 주변 조사하기
▶ 생활 속 흰개미 발견법 2
[개미흙이 있나 주기적으로 관찰]
목재의 갈라진 틈새 부분 관찰하기
▶ 생활 속 흰개미 발견법 3
[집안 걸레받이 부분 확인]
눌러봐서 움푹 패이면 피해 가능성
▶ 생활 속 흰개미 발견법 4
[주변 목부재 두드려보기]
두드릴때 속이 빈 소리가 나는지 여부
흰개미로 인한 피해는?
흰개미는 목재의 '셀룰로오스'를 영양 공급으로 활용하기에, 목재 내부를 갉아 먹어 건축물에 막대한 피해를 유발합니다. 목재는 물론이며 종이, 곡물, 피혁, 섬유품 그리고 고무 등 흰개미의 피해는 매우 광범위합니다. 또한 단순 목조건축물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건축물에서도 흰개미가 발견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목재 부분이나 스티로폼 등에도 서식합니다. 특히 3~6월의 결혼비행 시기에는 몇십 마리에서 많게는 몇천 마리까지의 유시충이 한꺼번에 출몰하여 거주자의 정신적 피해가 심해집니다.
목재 형태 변형
흰개미는 목재를 지속적으로 갉아 먹어 가구의 손상을 야기시킬뿐 아니라 건물의 경제적 가치 하락과 수명을 대단히 빠르게 단축시키고 있습니다.
건물 손상 위험성
목재건축물의 경우 기둥이나 대들보 등을 갉아먹어 건물에 손상을 끼치며 문화재에도 훼손 피해를 입힙니다. 심각하게는 흰개미 피해로 건물이 무너진 해외 사례가 보고된적도 있습니다.
정신적 피해 유발
흰개미의 결혼비행 시기(3~6월)에는 매우 많은 수의 검정색 유시충이 한꺼번에 가옥 내에 출몰 하여사 거주민들에게 극심한 혐오감을 주는것은 물론이고 정신적 트라우마가 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